다솜[명사]:애틋하게 사랑함.옛말인‘오다’의 명사형‘옴’을 현대 국어식으로 표기(表記)한 것이다. 1.사랑을 뜻하는 순우리말, 2. (순우리말)사랑.
다솜은 사랑이라는 뜻을 가진 순우리말들 중 하나이다.중세 단어'ㄷㆍ솜'의 현대적 표기. '따뜻하다'나'따스함'등과 어원이 같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그런데 사랑이란 단어도 순우리말이기에 쓰임새가 별로 없는 말.현대에는 여성 이름 등 고유명사(固有名詞)에 자주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이나<<어원사전>>등에는 실려 있지 않으나, <<토박이말 사전>>을 참고해 보면, ‘다솜’은‘사랑’의 옛말 형태이며 순 우리말로 볼 수 있다. ‘다솜’은‘닷(모음은 아래아)옴’을 지금 말로 적은 것이라고 하는데, ‘닷옴’은‘닷오다’의 명사형(名詞形)으로‘사랑함’의 뜻이며, “모다 닷고 공경하(모음은 아래아)야”(월인석보)와 같이 옛 문헌에서 그 어형을 찾아볼 수 있다.
-다솜
옛날엔'사랑하다'를'다소다'라고 했다.그리고,사랑하는 사람을'다소니'라고 했고,사랑하는 말을'다손말'이라고 했다. '사랑하다'의 뜻인'닷다'에서, '닷'을 말뿌리로 하는 여러 낱말이 나온 것이다.
닷온=다손(사랑하온 사랑하는)
닷온+이=닷온이=다소니(사랑하는 사람)
닷온+말=닷온말=다손말(사랑하는 말)
'다솜'이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낱말이어서 이것은 여자 친구들 이름에 주로 보인다.그런데,이것을 남자 이름으로 삼고자 하는 사람들은 더러'다솔'이라고 하기도 했다.그렇게 될 때,그 뜻을 어떻게 된다고 보아야 할까? '사랑할'의 뜻으로 볼 수도 있다.
다솜(닷옴)=사랑함
다손(닷온)=사랑하는
다솔(닷올)=사랑할
배우리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출처] 다솜 뜻
내 곁에 머무는 사랑이 없다면 내 안에서 샘솟는 사랑도 없기 때문이다.신(神)은 인간에게 사랑하라고 고독을 선물했지만 때로 인간은 고독을 다스리지 못해 사랑을 느끼기도 전에 좌절하고 만다.사랑은 외로움의 줄기에 피는 꽃,고독(孤獨)이 당신에게 진실을 이야기할 것이다.
사랑은 마음의 발로라 할 수 있다.또한 그 사랑에 당신의 깊이가 있고 진실(眞實)이 있다.서투른 표현(表現)은 고쳐 쓸 수 있으나 어긋난 사랑은 바로잡기 어렵다.세상일도 개인의 삶도 이와 마찬가지이다.무엇을 사랑하는가는 중요치 않다.무엇을 어떻게 사랑하였는지가 더 중요하다.때문에 당신의 사랑은 사람들에게 따뜻한 색깔을 입힌다.시간이 지나면 사람들은 당신의 사랑에 감동하게 된다.더욱 놀라운 것은 그 사랑의 뿌리가 평생 당신과 함께 줄기차게 뻗어간다는 사실이다.
사랑은 좋아하고 아끼는 마음을 말한다.반대말은 학대 등을 포함한 무관심이다.비슷한 말은 애정 등을 포함한 사랑이다.대표적인 예로 모성애(母性愛)나,가족 또는 연인에 대한 사랑을 들 수 있다.넓은 의미에서는 사람 또는 동식물 이외의 대상,즉,조국이나 사물에 대한 사랑도 포함된다.한국어의 명사"사랑"의 옛말은"다솜"이며,동사"사랑하다"의 옛말은"괴다"이다. "괴다", "고이다"의 원뜻은"생각하다"인데,이는 사랑한다는 것이란 곧 누군가를 끊임없이 생각하고 계속 생각이 나는 것이라는 생각을 담고 있다.
목숨은 아니더라도 따뜻한 사랑으로 믿고 사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이것은 한 국민으로서 밀어버릴 수 없는 의무감으로 지켜야 도의(道義)이다.괴롭고 힘들 땐 누구에게 사랑의 손길을 내밀어 보라.그러면 따뜻한 손길을 내어주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큰 소리 친다고 비웃어도 대수롭지 않다.사랑은 이미 모든 것을 덮어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