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akgeun choe 입니다. 논어와 같은 동양고전(東洋古典) 속 인물들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 하는 과정 중 흥미로운 인물인 도척(盜跖)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이자 전설적인 대도였던 도척 (盜跖) 은 스스로를 '도둑계의 공자'라 칭하며 나름의 도둑철학(强盜哲學)을 설파했다고 전해지는데요.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5가지 원칙 즉 오도(五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둑계 공자', 도척이란 인물 소개
중국 춘추시대의 유명한 도둑이자 강도단의 두목이었던 도척은 스스로 '도둑계의 공자'라 칭하며 악명을 떨쳤습니다. 그는 당시 사회 규범(社會規範)과는 전혀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과 원칙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5도(五盜)'라 불렀습니다.
도척은 노나라 사람으로, 현인 유하혜 (柳下惠) 의 동생이었습니다. 그는 형의 인덕을 따르지 않고 수천 명의 부하를 거느린 대규모 강도단을 조직하여 각지에서 약탈과 살인을 저질렀습니다. 그의 강도 행위는 매우 체계적이고 조직적이어서 관군(官軍)도 쉽게 그를 체포하지 못했습니다.
도척은 자신의 도둑질을 정당화(正當化)하기 위해 5가지 원칙을 세웠는데 이것이 바로 5도 입니다. 5도는 성(聖), 용(勇), 의(義), 지(知), 인(仁) 다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성(聖) : 도둑질할 대상을 선정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도척은 물건의 가치와 주인의 재산 상태(財産狀態)를 파악하여 훔칠 만한 가치(價値)가 있는 물건을 선택하는 능력이 뛰어났습니다.
2.용(勇) : 도둑질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용기(勇氣)를 말합니다. 도척은 대담하고 무모한 행동으로 자신의 목적을 달성했습니다.
3.의(義) : 도둑질 후에 얻은 물건을 공정하게 분배(分配)하는 정의로움을 뜻합니다.
4.지(知) : 도둑질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혜(知慧)를 일컫습니다. 상황 판단력과 전략적 사고력이 뛰어나며,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도둑질을 할 수 있었습니다.
5.인(仁) : 동료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인자(仁慈)함을 나타냅니다. 부하들의 신뢰를 얻고, 그들과 함께 협력하여 도둑질을 수행했습니다.
이러한 도척의 5도는 현대에서도 비즈니스나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應用)되고 있습니다.
도척의 5도(五盜) 원칙의 개념 설명
도척의 5도(五盜)는 중국 춘추시대의 유명한 도둑이자 강도단의 두목이었던 도척이 세운 5가지 원칙으로, 자신의 도둑질을 정당화하고 체계화(體系化)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다섯 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성(聖) : 첫 번째 원칙인 '성(聖)'은 도둑질할 대상을 선정하는 능력(能力)을 말합니다. 즉, 상대방의 재산 규모와 가치를 파악하고, 가장 이득이 되는 물건을 선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능력은 일종의 통찰력(洞察力)과 판단력(判斷力)을 필요로 하며, 뛰어난 도둑일수록 이러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2.용(勇) : 두 번째 원칙인 '용(勇)'은 도둑질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용기를 가리킵니다. 담대하고 과감한 행동으로 자신의 목적(目的)을 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두려움이나 망설임 없이 행동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3.의(義) : 세 번째 원칙인 '의(義)'는 도둑질 후에 얻은 물건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정의(正義)로움을 뜻하는데, 훔친 물건을 혼자 독차지 하지 않고 동료들과 함께 나누는 것을 이상적으로 여겼습니다.
4.지(知) : 네 번째 원칙인 '지(知)'는 도둑질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지혜를 일컫는 말로, 상황 판단력과 전략적 사고력(思考力)이 뛰어나야 함을 강조 했습니다.
5.인(仁) : 마지막 다섯 번째 원칙인 '인(仁)'은 동료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인자함을 나타내며, 부하들의 신뢰를 얻고 서로 협력(協力)하여 도둑질을 수행하는 것을 중요시 하였습니다.
현대에서는 기업 경영이나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경쟁에서 우위(競爭優位)를 점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도덕 원칙: 공정한 분배
도척의 5도(五道)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덕목(德目)이며, 그가 말하는 의(義)란 바로 공정한 분배를 의미합니다.
동료들과 함께 도둑질한 물건을 나눌 때, 각자의 공헌도(貢獻度)와 노력을 고려하여 공정하게 분배해야 한다는 것인데, 만일 어느 한 사람이 부당하게 많은 몫을 차지한다면 다른 동료들의 불만을 사게 되고, 이로 인해 조직의 결속력(結束力)이 약화될 수 있음을 경계했습니다.
이러한 분배의 원칙은 현대의 기업 경영(企業經營)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직원들의 성과에 따라 보상을 차등 지급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때에도 공정성(公正性)이 보장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직원들의 사기가 떨어지고 업무 효율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도덕 원칙: 불의에 맞선 행동
도척이 강조한 또 다른 덕목으로는 '불의(不義)에 맞선 행동'이 있는데, 이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부당한 권력에 저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는 당시의 부패한 정치인(腐敗政治人)과 귀족들을 비판하며, 그들의 재물을 빼앗는 것을 일종의 '정의로운 행동'으로 여겼으며, 가난한 백성들을 돕고, 그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을 자신의 의무로 생각했습니다.
이런 행동 방식은 현대사회에서도 적용 될 수 있는데 각종 비리(非理)와 차별(差別) 및 혐오문제(嫌惡問題)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시민단체나 사회운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도덕 원칙: 무고한 자의 보호
도척의 5도 가운데 세 번째 원칙은 바로 ‘무고한 자를 해하지 않는다’ 는 것 입니다.
그는 도둑질을 할 때에도 힘없는 노인이나 어린아이, 그리고 의지할 곳 없는 과부와 홀아비 같은 무고(無辜0한 자들은 절대로 해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들을 보호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타인의 생명과 안전을 존중하는 태도이며, 사회적 약자를 배려(配慮)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오늘날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이나 봉사활동 등도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도덕 원칙: 도둑질의 한계 설정
5도(五盜) 의 네 번째 원칙은 '훔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만 훔친다' 라는 것입니다.
이는 무분별한 도둑질을 경계하고, 정당한 노동의 대가(勞動代價)를 지불하지 않은 채 부당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비판하는 의미를 담고있습니다. 즉, 노력과 희생 없이 손쉽게 부(富)를 얻으려 하지 말고 스스로의 능력과 노력으로 삶을 개척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도덕 원칙: 후학 양성의 의무
5도(五盜)의 마지막 다섯 번째 원칙은 '기술을 전수하라' 입니다.
이는 자신이 갈고 닦은 기술과 노하우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여 사회 전반의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책임감(責任感) 있는 태도는 단순한 도둑질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도척의 5도 원칙이 현대 사회에 주는 교훈
도척의 5도 원칙은 언뜻 보면 도둑질을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는 현대 사회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소중한 교훈(敎訓)이 담겨 있습니다.
첫째, 목표 설정의 중요성입니다. 명확한 목표(目標)를 설정하면 일의 방향성이 명확해지고, 불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역량 강화의 필요성입니다. 경쟁이 치열한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의 역량을 끊임없이 강화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셋째, 팀워크의 중요성(重要性)입니다. 혼자서는 이룰 수 없는 일도 함께 하면 이룰 수 있습니다. 넷째, 도덕적 책임감의 필요성입니다. 어떠한 일을 하더라도 항상 도덕적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해야 하며, 잘못된 일을 했을 때는 이를 인정하고 책임져야 합니다. 다섯째, 후계자 양성의 중요성입니다. 자신의 뒤를 이을 후계자(後繼者)를 양성하여 조직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전설적인 대도 도척의 5가지 원칙 오도와 함께 그의 생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