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古典學硏究 - 傾蓋如舊

目標를 向하는 路程은 艱苦하고도 어렵다. 巨大한 努力으로 이 試練을 극克服하고 全勝하면 目的地에 到達할 수 있다!

반응형

두산백과 육서[  ]

                                                                                  이미지 출처
요약 한자의 성립을 6가지로 나누어 설명한 분류법.

‘서’는 문자란 뜻이다. 후한()의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① 상형():사물의 모양을 그린 문자( · 등), ② 지사():추상적인 기호로 특정한 사태를 암시한 문자(

 ·

), ③ 회의():기성 친자()로 합성한 문자( ), ④ 형성():해성()이라고도 하며 발음을 나타낸 음부자()에다 유별()을 나타내는 변()을 첨가한 문자( · 등), ⑤ 전주():의미가 전화하여 다른 문자로 주해할 수 있는 문자( ,  이라고 주석한다), ⑥ 가차():차자(:무기를 뜻하는 를, 1인칭 대명사 '나'를 나타내는 문자로 충당한다).

이상 6가지 중에서 본식 조자법()은 ①∼④이며, 이 분류법은 지금도 해자() 원칙에 대한 설명에 이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서 [六書]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한글글꼴용어사전 육서 [  ]

한자를 만들고 실제로 응용하는 여섯 가지의 대원칙인 지사(), 상형(), 형성(), 회의(), 전주(), 가차() 등을 가리킨다.

·지사()
한자의 구성과 응용의 원칙인 육서 중의 첫째 원칙이다. 한자 중에서 추상개념을 도형화한 종류의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위에 점이 있다는 원칙으로 형성된 자, 아래에 점이 있다는 원칙으로 형성된 자 등이 있다.

· 상형()
한자를 구성하는 6가지 대원칙 중의 하나이다. 물건의 형태를 형상화 한 것으로 그림이 근본이 되는 것. 예로 태양의 형태를 본뜬 자, 사람이 서 있는 형태를 본뜬 자 등의 글자가 있다.

· 형성()
한자 구성의 6가지인 육서 중의 한 가지로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합성한 것이다. 한 글자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한쪽이 뜻을 나타내고, 다른 한쪽이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형성자를 이루는 성분 중의 하나는 반드시 성부()라는 점이 회의와 다르다. 6만에 가까운 한자의 구성은 이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보기 : , , 忿, 

· 회의()
한자 구성의 요건 6가지 중 하나인 회의는 지사와 상형이란 한자의 기본을 두 개 이상 조합하여 하나의 개념으로 나타낸 것을 회의라 한다.

보기 : (사람이 양쪽에서 서로 등을 맞대고 향하여 도망가는 형상)

· 전주()
한자 구성과 응용에 대한 6가지 원칙인 육서 중의 다섯 번째 원칙이 전주이다. 한 글자의 뜻을 다른 뜻으로 돌려쓰는 방법. 예를 들어 을 악으로 읽어 악하다는 뜻을 오로 읽어 미워한다는 뜻으로 통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 가차()
한자를 구성하는 대원칙 6가지 중의 하나이다. 본래 고유 글자가 없는 낱말에 대하여 소리가 같은 다른 글자의 글자꼴을 빌려 쓰는 방법을 말한다. 그래서 가차에 의해서는 어떠한 자형의 증가도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를 진정한 의미의 조자법이라 보기는 어렵다. 가차는 한 글자를 가지고 같은 음으로 둘 이상의 뜻으로 하는 것도 있고, 같은 글자를 다르게 발음하기도 하며, 또는 서로 다른 글자를 같은 음으로 빌려쓰는 것도 있다.

보기 : , , 

上은 작은 물건이 큰 물건 위에 있음을 나타내고 下는 작은 물건이 큰 물건의 아래에 있음을 표시한다.


상형자는 원시적인 그림에서 출발하였으므로 처음에는 원래 사물의 모양과 매우 비슷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원형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


江과 河는 水로 뜻을 나타내고 工, 可로 소리를 알려준다. 工은 장강(長江)의 물이 바윗돌을 부딪치면서 흘러갈 때 나는 소리, 可는 황하(黃河)의 물이 모래 위를 흘러가는 소리에서 나왔다.


止와 戈가 합쳐, 천하의 병과(兵戈)를 멈추어 난동을 부리지 않게 하는 것이 진정한 武라는 뜻을 나타낸다. 信은 人과 言이 합하여, 사람이란 자기가 한 말을 실현해야만 비로소 신용을 얻을 수 있음을 뜻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서 [六書] (한글글꼴용어사전, 2000. 12. 2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한자의 조자 원칙-육서

흔히 한자는 상형문자 혹은 표의문자라고 한다. 고문자 가운데 사물의 형상을 그대로 본떠서 만든 글자가 많고, 또 자형을 보기만 하면 그 뜻이 드러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특히 한자의 자체가 완전히 부호화1)되기 이전의 고문자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한자는 상형자 외에 또 다른 방법으로 만든 글자가 있다.

우리가 한자를 논할 때 흔히 육서()라는 명칭과 만나게 되는데, 육서는 일반적으로 한자를 만드는 여섯 가지 방법이자 원칙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혹 한자를 만들 때 이 여섯 가지 원칙을 미리 정해놓고 적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오해를 낳을 소지가 있다. 그러나 육서는 한()나라 학자들이 기존의 한자 자형 결구를 분석한 후 그것을 여섯 가지로 귀납 정리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육서는 한나라의 정중()·반고()·허신() 등이 제시한 것이지만, 그 명칭과 순서는 사람마다 각각 다르다. 그러나 이 세 사람은 모두 유흠()의 전적을 참고하였거나 그 제자의 제자이다. 따라서 육서는 한나라 고문 경학가의 학설이라고 보면 가장 타당할 것이다. 여기서 육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아울러 예를 들기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자의 조자 원칙-육서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2011. 3. 3., 공상철)

 

한자의 조자 원칙-육서

흔히 한자는 상형문자 혹은 표의문자라고 한다. 고문자 가운데 사물의 형상을 그대로 본떠서 만든 글자가 많고, 또 자형을 보기만 하면 그 뜻이 드러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특히 한자의

terms.naver.com

 

한자의 조자 원칙-육서

흔히 한자는 상형문자 혹은 표의문자라고 한다. 고문자 가운데 사물의 형상을 그대로 본떠서 만든 글자가 많고, 또 자형을 보기만 하면 그 뜻이 드러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특히 한자의

terms.naver.com

이미지 출처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